1. 과거 사례와의 비교
ㅇ 이번 코로나 사태는 전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2008년 금융위기 때와 비슷.
ㅇ 이번 사태가 전세계적 현상으로써, 이에 대처하는 국가간 공조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기대.
구 분 |
전개 과정 |
비 고 |
1998년 외환위기 |
ㅇ 1997-01부터 한보, 진로, 한신, 기아, 쌍방울, ㅇ 1997-11부터 아시아 각국 외환 부족사태 노출. ㅇ 1997-10-24 무디스, 한국 신용등급 하향. ㅇ 1997-12-15 IMF 자금지원 시작. |
아시아 취약국에 한정. |
2008년 금융위기 |
ㅇ 2007-04부터 미국 Sub-prime Mortgage 회사들 ㅇ 2008-09-15 투자은행인 리먼브라더스 파산 |
미국에서 발생하여 |
2020년 코로나사태 |
ㅇ 2019-12부터 중국우한지역 코로나 유행 알려짐. ㅇ 2020-01-21 사람간 전염 확인 보도. |
중국에서 발생하여 |
2. 과거 사태시의 증시 충격.
[1998년 외환위기]
ㅇ Trigger point 발생 직전 고점은 4개월 전이었으며, 이 때부터 위기감이 확산하여 지속적으로 주가가 하락하고 있었음.
ㅇ 무디스가 신용등급을 하향시킨 후 IMF가 긴급자금을 지원할 때까지 8주에 걸쳐 -29% 하락했다가 반등하여 7주만에 하락을 일단 만회하였음. (원상회복에 15주 걸림)
ㅇ 그러나 IMF가 산업 구조조정, 고금리 유지를 강제함에 따라 주가는 다시 하락하여 1998년 6월에 사태전 고점 대비 -65%, Trigger point 대비 -49%까지 하락했다가 14개월(63주) 만에 다시 원 수준을 되찾았음.
[2008년 금융위기]
ㅇ Trigger point 직전 고점은 4개월 전이었으며, 주가가 비교적 빠르게 하강하고 있었음.
ㅇ 미국 Sub-prime Mortgage 10여 개 회사의 부실 또는 파산으로 하락하던 주가는 리먼브라더스의 파산이 계기가 되어 7주간 폭락한 뒤에 저점을 찍고, 반전 상승하여 무려 38주 만에 하락폭을 만회하였음.
3.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충격 예상
ㅇ 이번 사태는 전세계적 현상이며, 국제적 공조를 통해 대응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그 흐름이 2008년 금융위기의 경우와 유사할 것으로 판단.
- 경제 외적 돌발변수에 의해 충격을 받았으며, 공중보건 위험이기 때문에 선진 강대국의 충격이 상대적으로 큼.
- 개발도상국에서 국지적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므로 강대국들이 회복 속도를 조정하면서 이득을 취할 여유가 없음.
ㅇ 따라서 금융위기에 비추어 본 사태에 따른 주식시장 충격의 전개를 예상해 봄.
ㅇ 예측의 전제 또는 특징
- 이번 사태가 경제 외적 요인에 따른 소비 위축을 염려하고 있으며 사상 최고치(미국시장 기준)를 기록한 직후라 충격이 클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나,
금융위기 당시도 달러에 대한 불신으로 새로운 기축통화가 거론될 정도로 미증유의 경제위기였음.
(1939년 대공황을 능가, 자본주의 시스템 붕괴, 달러의 기축통화 기능 상실 등이 거론되었음)
- 따라서 이번 사태의 충격과 회복기간이 금융위기 때와 비슷할 것으로 전제함.
- 이번 사태는 시세의 직전 정점과 Trigger point의 시점이 겹치는 특징이 있음.
ㅇ 충격 예상
- 저점은 3월말 또는 4월초에 1,337∼1,030선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큼.
- Trigger point 수준의 지수 회복은 2020/12 말 전후에 가능할 전망.
ㅇ 요약
- 이번 코로나19사태의 충격은 1998년 외환위기보다는 2008년 금융위기 때와 유사할 것으로
전망.
- 앞으로 2주 내, 3월말에서 4월초에 낙관적으로는 1,350선, 비관적으로는 1,000선에서 하락이 멈출 것이며,
- 급락 직전인 2,150선으로의 복귀는 40주 후인 금년 말 경에 가능할 것으로 예상.
- 그럼에도 주요국 정부들이 유효한 치료제를 충분히 확보한 후 코로나19의 방역을 소극적인 ‘완화전략’으로 바꾸어, 조기에 경제활동을 일상 복귀시킨다면 지수의 원상 복귀 시점은 상당히 앞당겨질 수 있을 것임.
2020-03-20
하얀자작 김준식
'주식 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블 생성의 메카니즘 (1) | 2021.10.28 |
---|---|
현금전환주기(Cash Conversion Cycle, CCC)의 활용 (2) | 2020.04.30 |
중국 폐렴이 한국 주식에 미친 영향 관찰 (0) | 2020.01.25 |
시총비중 상한제에 걸린 삼성전자 투자 (0) | 2020.01.22 |
기술주 투자 주의해야 합니다 (0) | 2020.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