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거용부동산3

부동산 하락기에 어떤 아파트를 사야 하나? 2022년 들어 급격하고 연속적인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은 부동산 경기를 급냉시켰다. 다행히도 최근 들어서 그 속도가 느려지며 2023년 중에 인상을 멈출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부동산 경기의 경착륙을 막기 위해 서울과 몇몇 인접지역을 빼고는 규제지역을 모두 해제하였고, 다주택자에 대한 종부세 경감, 취득세 중과 해제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금융 지원책으로 고가주택 대출규제를 완화하고 특례보금자리론도 시행하려 하고 있다. 이런 배경 하에서 2023년 이후에는 부동산 하락세가 다소 진정되면서 실수요자들이 서서히 아파트 매수에 나서도 괜찮겠다 하는 기대가 싹트고 있다. 집값 급등기가 지나고 이제 하락기로 돌아서 2007년 세계금융위기에서 촉발된 긴 하락을 멈추고, 2013년부터 상승으로 전환된 .. 2022. 12. 15.
주거용부동산의 가격 형성 원리 부동산 고유의 특성에서 비롯되는 가격 부동산은 통상 자연적 특성으로 부동성, 부증성, 개별성, 연속성 등을 가지는데, 이 중 부동성과 부증성은 자원으로써 희소성을 유발한다. 한편, 인문적 특성으로 다양성, 분합가능성, 가변성을 가진다. 가변성은 구체적으로 사회적 가변성(인구, 환경), 경제적 가변성(소득 창출, 개발), 행정적 가변성(도시구획, 이용규제, 교통)등으로 나뉘는데 이들 모두가 부동산 효용의 변동을 초래한다. 이들 특성은 경제적으로 희소성을 유발하거나 부동산의 효용을 변동시켜 가격을 결정하거나 변동시키는 것이다. 즉 부동산의 특성이 곧 가격 형성의 원천이라 할 수 있다. 부동산의 특성과 경제적 영향 이를 경제학적으로 해석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어떤 재화이든지 공급이 한정적.. 2022. 9. 5.
물건가치 분석에 유용한 부동산 구분법 경제적인 개념에서 볼 때, 부동산은 생산요소, 소비재로 대별되며, 부수적으로 상품 또는 자산ᆞ자본으로서의 특성도 함께 가지고 있다. 생산요소*로써 대표적인 것이 농토, 공장, 물류시설, 상가, 오피스, 데이터센터 등이다. 소비재**로써 대표적인 것은 아파트, 단독주택, 다세대ᆞ연립주택 등이다. (* 현업에서 통칭 상업용부동산으로 부름, ** 현업에서 통칭 주거용부동산으로 부름) 한편 부동산 가치를 제대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와는 달리 가치창출의 측면에서 분류해 볼 필요가 있다. 먼저 생산요소로서 부동산은 생산주체의 소유물로 자가사용되는 것도 있고 소유자가 생산주체인 타인이나 타 기업에게 사용수익하게 하는 것도 있다. 소비재로써의 부동산은 주로 소유자 본인이 직접 거주하지만, 타인에게 빌려주는 경우도 많다.. 2022.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