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 단상17

일본의 트레이딩 카드 투기 VS 네덜란드 튤립 투기 “일본 젊은이들의 투기 대상, 트레이딩 카드” 일본에서 트레이딩 카드 재테크가 유행하고 있다. 20세기 초에 미국에서 시작된 트레이딩 카드는 처음에는 어린이나 청소년들이 수집하거나 게임에 이용하는 물건이었다. 수년 전까지만 해도 몇몇 희소성이 있는 카드들이 “레어카드”로 분류되어 다른 카드와 높은 교환비율로 거래되곤 한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던 것이 코로나19 시절을 거치면서 물건의 성격이 달라졌다. 어린 시절 트레이딩 카드 놀이의 추억을 가진 성인들의 관심이 다시 몰리면서 재테크ᆞ투자 수단으로 의미가 더해졌다. 물론 그 전에도 게임에서 쓸모 있고 희귀한 카드들이 고가에 거래되고 있었지만, 코로나19 시절 사람들의 활동 범위가 실내에 묶인데다 세상에 유동성이 넘쳐나면서 공급이 한정적인 자산들의 가격이 급.. 2023. 10. 2.
금융소비자의 눈으로 시장금리 훑어보기 "미국 FRB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한국 시장금리” 지난 9/21에 미국 FRB가 금리를 5.25∼5.5%로 동결했다.* 그러면서 제롬 파월 의장이 내년까지 고금리 기조를 이어갈 수 있다는 매파적 발언을 했다. 가까운 미래에 금리인하 쪽으로 국면 전환을 기대하던 금융시장에 실망을 던졌다. 그 영향으로 한국에서도 주식, 채권 가격이 하락하고 달러 환율이 상승하였다.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3.5%로 상대적으로 낮아서 미국의 금리 향방에 한국 금융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한다. 앞으로 미국 금리가 계속 높은 수준에 머물거나 오른다면 한국의 금융시장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까? “기준금리 VS 시장금리” 보통 기준금리는 시중은행과 중앙은행(발권은행)간의 콜금리이다. 시중에서 무위험금리가 기준금리보다 높다면 시중은행이 중앙은.. 2023. 9. 28.
제국주의 단상 2 역사에서 제국주의를 소환한 김에, 재미있지만 슬픈 이야기 하나를 소개합니다. 백인우월주의자로서 아프리카 땅과 현지인들을 유린한 세실 로즈(Cecil John Rhodes)라는 인물이 있습니다. 이 자는 아프리카에서 성공한 광산업자로서 유명한 다이어몬드 회사 '드 비어스'를 만들었고, 옥스포드 대학에 유명한 세실장학금도 만들었습니다. 그가 소유했던 회사는 아프리카 땅을 수탈하여 '로디지아'란 국가를 만들기도 했는데 지금의 짐바브웨, 잠비아에 해당합니다. 세실 로즈는 예나 지금이나 영국인들에게는 영웅이지만, 아프리카인들에게는 제국주의 악마입니다. 2020. 7. 14.
제국주의 단상 1 한국 바로 옆에서, 나쁜 이웃 일본이 못된 짓만 골라하는 데 신경이 쓰여, 요즘 유럽인들이 저지르고 있는 악행에는 신경이 무뎌져 있죠. 영국인을 비롯한 유럽인들은 17세기 제국주의 시대 이래 긴 세월 동안 유색인종을 박해, 차별했죠. 그런데 아직까지 이에 대한 참회나 사과도 없으며, 오히려 저들을 문명화, 근대화 시켰으니 백인들에게 감사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일본의 악행과 판박이죠) 이제 더 한 것은 허드렛일 시키려 데려온 저들을 대놓고 욕하고 쫓아내려 한다는 거죠.(영국 백인들의 BREXIT 지지 이유) 참 나쁜 제국주의 국가에서 출발한 일본이나 서유럽 국가들, 그 악행이 오늘날까지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806131?fbclid=IwA.. 2020. 7. 14.
날아다니는 파리 안에 개구리가 갇힌다 오래전에 다른 곳에 올렸던 좋은 글을 옮겨 왔습니다. ---------------------------------------------------------------------------------------------- 날아다니는 작은 파리 안에 개구리가 갇힌다. 이게무슨 얘기지? 불교방송에서 음악프로그램을 진행하시는 원영스님의 글입니다. 다음 주소로 한번 방문해 글을 읽어보시죠. https://mnews.joins.com/article/17117188#home [삶과 믿음] 파리에 갇힌 개구리 먼지가 폴폴 날리는 여행 가방을 툭툭 털어 몇 년 만에 성지순례를 떠났다. 여행지는 라오스의 불교사원이다. 1월에 간 라오스는 생각보다 더웠다. 밤늦게 공항에 도착했는데도 꽤 더웠다. 아침저녁으론 쌀쌀했지만,.. 2020. 1. 12.
왜 경제는 우리 생각대로 움직이지 않을까? 이 글은 오래전에 내가 쓴 글을 티스토리로 옮겨온 것입니다. ---------------------------------------------------------------------------------------------------------------------- 2007년 미국의 리먼브라더스 사태에서 촉발된 세계경제 위기로 인해 한국의 경제, 특히 부동산 경기가 급랭되었다.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각국은 여러 해에 걸쳐 무자비한 통화 살포를 감행하였다. 나는 2008년에 이러한 통화팽창은 필연적으로 자산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판단했었다. 그러나 웬 걸, 이른 바 양적완화와 초저금리에도 불구하고 부동산은 계속 내리막길을 걸었다. 중국의 재정지출 확대, 저금리와 원자재가격 상승에 힘입은 .. 2020. 1. 5.